[프로그래머스/Lv.2] 점프와 순간 이동 | 파이썬 Python

문제

OO 연구소는 한 번에 K 칸을 앞으로 점프하거나, (현재까지 온 거리) x 2 에 해당하는 위치로 순간이동을 할 수 있는 특수한 기능을 가진 아이언 슈트를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 아이언 슈트는 건전지로 작동되는데, 순간이동을 하면 건전지 사용량이 줄지 않지만, 앞으로 K 칸을 점프하면 K 만큼의 건전지 사용량이 듭니다. 그러므로 아이언 슈트를 착용하고 이동할 때는 순간 이동을 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아이언 슈트 구매자는 아이언 슈트를 착용하고 거리가 N 만큼 떨어져 있는 장소로 가려고 합니다. 단, 건전지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점프로 이동하는 것은 최소로 하려고 합니다. 아이언 슈트 구매자가 이동하려는 거리 N이 주어졌을 때, 사용해야 하는 건전지 사용량의 최솟값을 return하는 solution 함수를 만들어 주세요.

예를 들어 거리가 5만큼 떨어져 있는 장소로 가려고 합니다.
아이언 슈트를 입고 거리가 5만큼 떨어져 있는 장소로 갈 수 있는 경우의 수는 여러 가지입니다.

  • 처음 위치 0 에서 5 칸을 앞으로 점프하면 바로 도착하지만, 건전지 사용량이 5 만큼 듭니다.
  • 처음 위치 0 에서 2 칸을 앞으로 점프한 다음 순간이동 하면 (현재까지 온 거리 : 2) x 2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위치 4로 이동합니다. 이때 1 칸을 앞으로 점프하면 도착하므로 건전지 사용량이 3 만큼 듭니다.
  • 처음 위치 0 에서 1 칸을 앞으로 점프한 다음 순간이동 하면 (현재까지 온 거리 : 1) x 2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위치 2로 이동됩니다. 이때 다시 순간이동 하면 (현재까지 온 거리 : 2) x 2 만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위치 4로 이동합니다. 이때 1 칸을 앞으로 점프하면 도착하므로 건전지 사용량이 2 만큼 듭니다.

위의 3가지 경우 거리가 5만큼 떨어져 있는 장소로 가기 위해서 3번째 경우가 건전지 사용량이 가장 적으므로 답은 2가 됩니다.

 

제한사항

  • 숫자 N: 1 이상 10억 이하의 자연수
  • 숫자 K: 1 이상의 자연수

 

입출력 예

입출력 예 #1
위의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처음 위치 0 에서 1 칸을 앞으로 점프한 다음 순간이동 하면 (현재까지 온 거리 : 1) x 2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위치 2로 이동합니다. 이때 1 칸을 앞으로 점프하면 위치3으로 이동합니다. 이때 다시 순간이동 하면 (현재까지 온 거리 : 3) x 2 이동할 수 있으므로 위치 6에 도착합니다. 이 경우가 건전지 사용량이 가장 적으므로 2를 반환해주면 됩니다.

 

입출력 예 #3
위와 같은 방식으로 합니다.

 

나의 풀이

def solution(n):
    num = n
    divisions = []
    
    while True:
        if num // 2 <= 1:
            break
        else:
            num = num // 2
            divisions.append(num)
    
    divisions.sort()
    power = 2 if (n % 2 and n > 1) else 1 # 건전지 사용량
    now = 1 # 현재 위치
    
    for next in divisions:
        if now*2 != next:
            power += next - (now*2)
            
        now = next
         
    return power
  • `n`을 `1`이 될 때까지 `2`로 나눈 몫을 리스트 `divisions`에 담는다.
    • 예시: `[2, 4, 9, 19, 39, 78, 156, 312, 625, 1250, 2500]`
  • 리스트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 건전지 사용량 `power`와 현재 위치 `now`를 초기화한다.
    • 기본적으로 한 칸은 이동하고 시작해야 하기 때문에 초기값을 `1`로 설정하는데, 건전지 사용량은 홀수인 경우에 마지막에 거리 `1`이 남기 때문에 미리 그 값을 더해 둔다.
    • 다만 `n = 1`인 경우에 예외 처리를 위해 `n > 1`이라는 조건을 추가했다.
  • `divisions` 리스트에 for문을 실행해서 `현재 위치 * 2`가 `divisions`의 다음 이동할 위치보다 작은 경우 그 차이 만큼 미리 점프해서 이동한다. `power += next - (now*2)`
  • for문이 종료되면 건전지를 최소한으로 사용해서 목적지에 다다를 수 있다.

 

다른 사람의 풀이1

def solution(n):
    return bin(n).count("1")
  • `n`을 이진수로 변환한 후 `1`의 개수, 즉 홀수인 경우를 출력한다.

 

다른 사람의 풀이2

def solution(n):
    answer = 1
    
    while n > 1:
        answer += n % 2
        n //= 2 
        
    return answer
  • `n`을 계속 나누면서 `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건전지 사용량에 추가해 나간다.

 

회고

  • 나는 어렵게 풀었는데 다른 사람들 풀이 간단한 거 보면 현타 온다...
  • 나도 한 번 더 고민했다면 while문과 for문 각각의 과정을 하나로 합칠 수 있었을 거 같아서 스스로에게 아쉽다.
  • 이진수로 변환해서 푸는 아이디어 진짜 어떻게 얻을 수 있는 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