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3968
오늘도 서준이는 버블 정렬 수업 조교를 하고 있다. 아빠가 수업한 내용을 학생들이 잘 이해했는지 문제를 통해서 확인해보자.
N개의 서로 다른 양의 정수가 저장된 배열 A가 있다. 버블 정렬로 배열 A를 오름차순 정렬할 경우 K 번째 교환되는 수를 구해서 우리 서준이를 도와주자.
크기가 N인 배열에 대한 버블 정렬 의사 코드는 다음과 같다.
bubble_sort(A[1..N]) { # A[1..N]을 오름차순 정렬한다.
for last <- N downto 2
for i <- 1 to last - 1
if (A[i] > A[i + 1]) then A[i] <-> A[i + 1] # 원소 교환
}
입력
첫째 줄에 배열 A의 크기 N(5 ≤ N ≤ 10,000), 교환 횟수 K(1 ≤ K ≤ N2)가 주어진다.
다음 줄에 서로 다른 배열 A의 원소 A1, A2, ..., AN이 주어진다. (1 ≤ Ai ≤ 109)
출력
K 번째 교환되는 두 개의 수를 작은 수부터 한 줄에 출력한다. 교환 횟수가 K 보다 작으면 -1을 출력한다.
예제
나의 풀이1 (성공)
N, K = map(int, input().split())
arr = list(map(int, input().split()))
flag = False
cnt = 0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i-1):
if arr[j] > arr[j+1]:
arr[j], arr[j+1] = arr[j+1], arr[j]
cnt += 1
if cnt == K:
flag = True
print(arr[j], arr[j+1])
if flag:
break
if cnt < K:
print(-1)
- 버블 정렬 정석대로 풀었는데 시간 초과로 실패했다.
- 이후에 다시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해 봤는데 결국엔 PyPy3로 제출하면 통과할 수 있는 거였다....
- PyPy3는 자주 쓰이는 코드를 캐싱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복잡하거나 반복적인 코드를 실행할 때 사용하면 좋다.
나의 풀이2 (실패)
N, K = map(int, input().split())
arr = list(map(int, input().split()))
sorted_arr = sorted(arr)
cnt = 0
for i in range(N-1, 0, -1):
num = sorted_arr[i]
j = arr.index(num)
if cnt + (i - j) >= K:
print(arr[j + (K - cnt)], num)
cnt += i - j
break
else:
cnt += i - j
arr.remove(num)
arr.append(num)
if cnt < K:
print(-1)
-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배열과 인덱스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시간복잡도를 줄이려고 했는데 이 방법은 실패했다.
회고
- 버블정렬 개념 공부하다가 직접 풀어 봐야 이해가 더 잘 될 거 같아서 버블정렬 문제 찾아서 풀어 봤다.
- 시간 초과로 걸릴 땐 PyPy3도 테스트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