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Lv.1] 과일 장수 | 파이썬

문제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5808

과일 장수가 사과 상자를 포장하고 있습니다. 사과는 상태에 따라 1점부터 k점까지의 점수로 분류하며, k점이 최상품의 사과이고 1점이 최하품의 사과입니다. 사과 한 상자의 가격은 다음과 같이 결정됩니다.

  • 한 상자에 사과를 m개씩 담아 포장합니다.
  • 상자에 담긴 사과 중 가장 낮은 점수가 p (1 ≤ p ≤ k)점인 경우, 사과 한 상자의 가격은 p * m 입니다.

과일 장수가 가능한 많은 사과를 팔았을 때,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계산하고자 합니다.(사과는 상자 단위로만 판매하며, 남는 사과는 버립니다)

예를 들어, k = 3, m = 4, 사과 7개의 점수가 [1, 2, 3, 1, 2, 3, 1]이라면, 다음과 같이 [2, 3, 2, 3]으로 구성된 사과 상자 1개를 만들어 판매하여 최대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최저 사과 점수) x (한 상자에 담긴 사과 개수) x (상자의 개수) = 2 x 4 x 1 = 8

사과의 최대 점수 k, 한 상자에 들어가는 사과의 수 m, 사과들의 점수 score가 주어졌을 때, 과일 장수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return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3 ≤ k ≤ 9
  • 3 ≤ m ≤ 10
  • 7 ≤ score의 길이 ≤ 1,000,000
    • 1 ≤ score[i] ≤ k
  • 이익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0을 return 해주세요.

 

입출력 예

입출력 예 #1

  •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 다음과 같이 사과 상자를 포장하여 모두 팔면 최대 이익을 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1 x 3 x 1) + (2 x 3 x 1) + (4 x 3 x 2) = 33을 return합니다.

 

나의 풀이

def solution(k, m, score):
    answer = 0
    score.sort(reverse=True)
    
    for i in range(len(score) // m):
        box = score[i*m:(i*m + m)]
        answer += min(box) * m
        
    return answer

`score`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고

리스트를 `m`개씩 슬라이싱해서 리스트의 최소값을 이용해 최대 이익을 구했다.

 

다른 사람의 풀이

def solution(k, m, score):
    score.sort()
    min_list = score[len(score) % m::m]   
    return sum(min_list) * m

`[start::m]`는 `start` 인덱스부터 `m`개씩 건너뛰는 요소들을 모든 리스트를 출력하는 방법이다.

`score[len(score) % m::m]`를 이용해

`len(score) % m` 인덱스부터 시작해서 `m`개씩 건너뛰면

남는 사과는 제외하고 상자별로 최소 가격만 담아서 출력할 수 있다.

각 상자의 최소 가격을 모두 더한 후에 `m`을 곱하면 최대 이익이 구해진다.

 

회고

  • 다른 사람의 풀이를 보면서 문제 풀이 아이디어와 슬라이스 사용방법을 배울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