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1번부터 N번까지 N개의 풍선이 원형으로 놓여 있고. i번 풍선의 오른쪽에는 i+1번 풍선이 있고, 왼쪽에는 i-1번 풍선이 있다. 단, 1번 풍선의 왼쪽에 N번 풍선이 있고, N번 풍선의 오른쪽에 1번 풍선이 있다. 각 풍선 안에는 종이가 하나 들어있고, 종이에는 -N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가 하나 적혀있다. 이 풍선들을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터뜨린다.
우선, 제일 처음에는 1번 풍선을 터뜨린다. 다음에는 풍선 안에 있는 종이를 꺼내어 그 종이에 적혀있는 값만큼 이동하여 다음 풍선을 터뜨린다. 양수가 적혀 있을 경우에는 오른쪽으로, 음수가 적혀 있을 때는 왼쪽으로 이동한다. 이동할 때에는 이미 터진 풍선은 빼고 이동한다.
예를 들어 다섯 개의 풍선 안에 차례로 3, 2, 1, -3, -1이 적혀 있었다고 하자. 이 경우 3이 적혀 있는 1번 풍선, -3이 적혀 있는 4번 풍선, -1이 적혀 있는 5번 풍선, 1이 적혀 있는 3번 풍선, 2가 적혀 있는 2번 풍선의 순서대로 터지게 된다.
입력
첫째 줄에 자연수 N(1 ≤ N ≤ 1,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차례로 각 풍선 안의 종이에 적혀 있는 수가 주어진다. 종이에 0은 적혀있지 않다.
출력
첫째 줄에 터진 풍선의 번호를 차례로 나열한다.
예제
나의 풀이2
N = int(input())
q = list(range(1, N+1))
cmd_list = list(map(int, input().split()))
idx = 0
cmd = cmd_list[0]
print(q.pop(0), end=" ")
while len(q) > 0:
if cmd >= 0:
idx = (idx - 1 + cmd) % len(q)
x = q.pop(idx)
else:
idx = abs(idx + cmd) % len(q)
x = q.pop(-idx)
idx = len(q) - idx + 1
cmd = cmd_list[x-1]
print(x, end=" ")
- 처음엔 `deque()`를 이용했었는데 데크는 인덱스로 `pop()`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다시 리스트로 접근했었다.
- 종이에 적힌 값이 양수인지 음수인지에 따라 인덱스를 다른 방법으로 구해봤는데 결과적으로 이 풀이는 틀렸다.
다른 사람의 풀이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 = int(input())
deq = deque(enumerate(map(int, input().split())))
result = []
while deq:
idx, cmd = deq.popleft()
result.append(idx+1)
if cmd >= 0:
deq.rotate(-(cmd-1))
else:
deq.rotate(-cmd)
print(" ".join(map(str, result)))
- 데크의 함수 `enumerate()`와 `rotate()`를 사용해서 풀 수 있는 문제였다.
- `enumerate()`로 인덱스와 종이에 적힌 값을 튜플로 묶어서 저장한다.
- `deque([(0, 3), (1, 2), (2, 1), (3, -3), (4, -1)])`
- `deque.rotate()`는 전달한 값이 양수일 때 오른쪽으로 회전하고, 음수일 때 왼쪽으로 회전한다.
- 제거할 대상이 항상 첫 번째에 위치시켜서 `deque.popleft()`로 제거한다.
- 종이에 적힌 값이 양수인 경우에는 풍선이 하나 제거되었으므로 `-1`을 하고, 데크를 왼쪽으로 회전시킨다.
- 종이에 적힌 값이 음수인 경우에는 데크를 오른쪽으로 회전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