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프로그래머스 팀에서는 기능 개선 작업을 수행 중입니다. 각 기능은 진도가 100%일 때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또, 각 기능의 개발속도는 모두 다르기 때문에 뒤에 있는 기능이 앞에 있는 기능보다 먼저 개발될 수 있고, 이때 뒤에 있는 기능은 앞에 있는 기능이 배포될 때 함께 배포됩니다.
먼저 배포되어야 하는 순서대로 작업의 진도가 적힌 정수 배열 progresses와 각 작업의 개발 속도가 적힌 정수 배열 speeds가 주어질 때 각 배포마다 몇 개의 기능이 배포되는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제한사항
- 작업의 개수(progresses, speeds배열의 길이)는 100개 이하입니다.
- 작업 진도는 100 미만의 자연수입니다.
- 작업 속도는 1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 배포는 하루에 한 번만 할 수 있으며, 하루의 끝에 이루어진다고 가정합니다. 예를 들어 진도율이 95%인 작업의 개발 속도가 하루에 4%라면 배포는 2일 뒤에 이루어집니다.
입출력 예

입출력 예 #1
첫 번째 기능은 93%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1%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7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
두 번째 기능은 30%가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30%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3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전 첫 번째 기능이 아직 완성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첫 번째 기능이 배포되는 7일째 배포됩니다.
세 번째 기능은 55%가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5%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9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7일째에 2개의 기능, 9일째에 1개의 기능이 배포됩니다.
입출력 예 #2
모든 기능이 하루에 1%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이 끝나기까지 남은 일수는 각각 5일, 10일, 1일, 1일, 20일, 1일입니다. 어떤 기능이 먼저 완성되었더라도 앞에 있는 모든 기능이 완성되지 않으면 배포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5일째에 1개의 기능, 10일째에 3개의 기능, 20일째에 2개의 기능이 배포됩니다.
나의 풀이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mport math
def solution(P, S):
N = len(P)
queue = deque([i for i in range(N)])
done = [False]*N
days = 0
result = []
while queue:
current = queue.popleft()
done[current] = True
days += math.ceil((100 - P[current]) / S[current])
cnt = 1
for i in range(N):
if not done[i] and P[i] + (S[i]*days) >= 100:
done[i] = True
queue.popleft()
cnt += 1
elif not done[i] and P[i] + (S[i]*days) < 100:
break
result.append(cnt)
return result
- 큐에 기능의 인덱스를 담고 진도 100%를 달성하면 앞에서부터 기능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풀었는데 테스트를 45%밖에 통과하지 못했다.
다른 사람의 풀이1
def solution(P, S):
days = 1
cnt = 0
result = []
while P:
if P[0] + (S[0] * days) >= 100:
P.pop(0)
S.pop(0)
cnt += 1
else:
if cnt != 0:
result.append(cnt)
cnt = 0
days += 1
result.append(cnt)
return result
- 큐를 사용해서 풀었는데 별도의 리스트를 만들지 않고 입력 받은 작업 속도와 스피드 리스트에서 직접
pop()
한다. - 항상 리스트의
0
번째 값에 접근해서 100%를 넘었는지를 확인하고, 넘지 않았을 경우에는 날짜를 하루씩 더해나간다.
다른 사람의 풀이 2
import math
def solution(P, S):
P = [math.ceil((100 - a) / b) for a, b in zip(P, S)]
result = []
front = 0
for i in range(len(P)):
if P[i] > P[front]:
result.append(i-front)
front = i
result.append(len(P) - front)
return result
- 기능별 소요시간을 따로 리스트로 추출해서 접근하는 풀이 방법
- 한 번에 몇 개의 기능이 배포되는지는 이전 배포 시 인덱스를 저장한 후 현재 인덱스와 비교해서 구한다.
- 전혀 생각 못했던 방법이라 너무 신선했다!
회고
- 문제가 풀리지 않을 때는 접근 방식부터 다시 생각해봐야겠다.
- 그리고 너무 효율성에만 집착하지 말자. 이 문제도 날짜를 하루씩 더하는 건 너무 오래 걸릴 거 같아서 다음 배포를 위해 필요한 날짜를 계산해서 기존 날짜에 더하는 방법으로 접근했는데 오히려 복잡해져서 풀기 더 어려웠던 거 같다.
- 내 풀이 특징: 다시 봐도 어떤 흐름인지 파악이 안 되는 지저분한 코드, 다른 사람 풀이 봤을 때: 한 눈에 흐름 파악하고 와 이렇게 풀 수 있구나... 감탄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