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at Sheet
-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 명령어, 데이터
- CPU: 명령어를 읽고 해석하고 실행함
- ALU(계산기), 레지스터(임시 저장 장치), 제어장치(제어 신호 내보내고, 명령어 해석)
- 주기억장치(메모리): 현재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
- 보조기억장치: 전원이 꺼져도 보관할 프로그램을 저장
- 입출력장치: 컴퓨터 외부에 연결되어 내부와 정보 교환할 수 있는 부품
- 시스템 버스: 컴퓨터의 핵심 부품들이 정보를 주고받는 통로
- 주소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버스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
-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에는 데이터와 명령어가 있음
- 명령어는 컴퓨터를 작동시키는 정보
- 컴퓨터는 0과 1로 표현된 정보만을 이해함
- 컴퓨터는 명령어를 처리하는 기계
컴퓨터의 4가지 핵심 부품
- 중앙처리장치(CPU), 주기억장치(메모리), 보조기억장치, 입출력장치
CPU (중앙처리장치)
-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읽어 들이고, 해석하고, 실행하는 부품 (컴퓨터의 두뇌)
- Central Processing Unit
CPU 내부 구성 요소
- 산술논리연산장치 (ALU; Arithmetic Logic Unit)
- 계산하는 장치
- 레지스터
- 임시 저장 장치
- 제어장치 (CU; Control Unit)
- 제어 신호(control signal)라는 전기 신호를 내보내고 명령어를 해석하는 장치
- 제어 신호 예시: 메모리 읽기, 메모리 쓰기
메모리 (주기억장치)
- 메모리는 현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부품
-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어야 함
- 메모리에 저장된 값의 위치는 주소(address)로 알 수 있음
- 메모리는 보통 RAM (Random Access Memory)을 지칭함
- 메모리 = 주기억장치 = Main Memory = RAM
보조기억장치
- 보조기억장치는 전원이 꺼져도 보관될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부품
- 메모리는 전원이 꺼지면 저장된 내용이 날아감
- 하드 디스크, SSD, USB, DVD, CD-ROM 등
- 메모리가 현재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면, 보조기억장치는 ‘보관할’ 프로그램을 저장함
- Secondary Storage
입출력장치
- Input/Output (I/O) Device
- 컴퓨터 외부에 연결되어 컴퓨터 내부와 정보를 교환하는 장치
- 마이크, 스피커, 프린터, 마우스, 키보드 등
- 보조기억장치도 입출력장치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음
- 다만 메모리를 보조한다는 특별한 기능 수행
메인보드
- 컴퓨터의 핵심 부품들이 메인보드라는 판에 연결됨
- 마더 보드(Mother Board)라고도 부름
시스템 버스
- 메인보드에 연결된 부품들은 버스(bus)라는 통로를 통해 서로 정보를 주고받음
- 시스템 버스는 컴퓨터의 네 가지 핵심 부품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 통로
- 주소 버스 (Address Bus): 메모리의 주소를 주고받음
- CPU가 읽고자 하는 주소, 저장할 주소를 보냄
- 데이터 버스 (Data Bus): 명령어와 데이터를 주고받음
- 제어 버스 (Control Bus): 제어 신호를 주고받음
- 제어장치는 제어 버스를 통해 제어 신호를 보냄
- 주소 버스 (Address Bus): 메모리의 주소를 주고받음
출처: [1-2] 컴퓨터 구조의 큰 그림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운영체제 - 예스24
혼자 해도 충분합니다! 1:1 과외하듯 배우는 IT 지식 입문서이 책은 독학으로 컴퓨터 구조와 운영체제를 배우는 입문자가 ‘꼭 필요한 내용을 제대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뭘 모르는지
www.yes24.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