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7687
튜브가 활동하는 코딩 동아리에서는 전통적으로 해오는 게임이 있다. 이 게임은 여러 사람이 둥글게 앉아서 숫자를 하나씩 차례대로 말하는 게임인데, 규칙은 다음과 같다.
- 숫자를 0부터 시작해서 차례대로 말한다. 첫 번째 사람은 0, 두 번째 사람은 1, … 열 번째 사람은 9를 말한다.
- 10 이상의 숫자부터는 한 자리씩 끊어서 말한다. 즉 열한 번째 사람은 10의 첫 자리인 1, 열두 번째 사람은 둘째 자리인 0을 말한다.
이렇게 게임을 진행할 경우,
0, 1, 2, 3, 4, 5, 6, 7, 8, 9, 1, 0, 1, 1, 1, 2, 1, 3, 1, 4, …
순으로 숫자를 말하면 된다.
한편 코딩 동아리 일원들은 컴퓨터를 다루는 사람답게 이진수로 이 게임을 진행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0, 1, 1, 0, 1, 1, 1, 0, 0, 1, 0, 1, 1, 1, 0, 1, 1, 1, …
순으로 숫자를 말하면 된다.
이진수로 진행하는 게임에 익숙해져 질려가던 사람들은 좀 더 난이도를 높이기 위해 이진법에서 십육진법까지 모든 진법으로 게임을 진행해보기로 했다. 숫자 게임이 익숙하지 않은 튜브는 게임에 져서 벌칙을 받는 굴욕을 피하기 위해, 자신이 말해야 하는 숫자를 스마트폰에 미리 출력해주는 프로그램을 만들려고 한다. 튜브의 프로그램을 구현하라.
입력 형식
진법 n, 미리 구할 숫자의 갯수 t, 게임에 참가하는 인원 m, 튜브의 순서 p 가 주어진다.
- 2 ≦ n ≦ 16
- 0 < t ≦ 1000
- 2 ≦ m ≦ 100
- 1 ≦ p ≦ m
출력 형식
튜브가 말해야 하는 숫자 t개를 공백 없이 차례대로 나타낸 문자열. 단, 10~15는 각각 대문자 A~F로 출력한다.
입출력 예
나의 풀이 (실패)
def solution(n, t, m, p):
num = 0
total = ''
answer = ''
while len(total) <= t * m:
if n == 2:
total += bin(num)[2:]
elif n == 8:
total += oct(num)[2:]
elif n == 16:
total += hex(num)[2:]
num += 1
for i in range(p, p + (t * m), m):
if total[i-1].isalpha():
answer += total[i-1].upper()
else:
answer += total[i-1]
return answer
내 차례가 포함되는 최대 길이만큼 10진수의 숫자를 n진수로 변환하고
내 차례에 해당하는 문자열만 추출했다. (영어의 경우 대문자로 변환)
하지만 이 풀이는 절반 가량의 테스트 케이스에서 시간 초과로 실패했다.
다른 사람의 풀이
def convert_number(n, base):
num = "0123456789ABCDEF"
q, r = divmod(n, base)
if q == 0:
return num[r]
else:
return convert_number(q, base) + num[r]
def solution(n, t, m, p):
answer = ""
num = 0
while True:
answer += convert_number(num, n)
num += 1
if len(answer) >= t * m:
return answer[p-1:t*m:m]
우선 전체 문자열을 구한 후, 내 차례의 문자열만 추출한다는 접근 방식은 동일한데
진수 변환 방식이 달라져서 따로 소문자를 대문자로 변환할 필요도 없어졌다.
def convert_number(n, base):
num = "0123456789ABCDEF" # 16진수까지 사용할 문자들
q, r = divmod(n, base) # n을 base로 나누어 몫과 나머지를 구함
if q == 0: # 몫이 0이면
return num[r] # 나머지에 해당하는 값을 문자로 반환
else: # 몫이 0이 아니면 재귀적으로 나누고 나머지 문자 추가
return convert_number(q, base) + num[r] # 최소 자릿수부터 차례대로 나머지를 구하며 계산
`convert_number(n, base)`는 재귀적으로 동작하면 숫자 `n`을 `base`진수로 변환해주는 함수다.
몫은 위치가 높은 자릿수를, 나머지는 현재 자리에 해당하는 숫자를 의미한다.
몫이 0이면 나머지를 이용해 해당 진법에서 현재 자리에 해당하는 숫자를 반환하고,
몫이 0이 아니면 몫을 다시 `base`로 나누면서 재귀 호출을 진행한다.
회고
- 진수 다루는 건 아무리 해도 어려운 거 같다...